nullish 병합연산자를 사용하면 확정되어있는 값을 찾을 수 있다.
예를 들어 아래의 코드에서 name의 값은 '유정인'으로 나온다. 여러 피연산자들 중 확정적으로 값이 존재하는 yourName이 출력된다.
let myName = null;
let yourName = '유정인'
const name = myName ?? null ?? yourName; // 유정인
이를 이용하여 여러 변수들 중에서 값이 존재하는 변수를 출력하고 싶을때 병합연산자를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.
또한, 변수들의 값이 없을 경우 데이터가 null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.
const Token = localStorage.getItem('token') ?? '';
위 코드에서 localStorage에 토큰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병합연산자와 임의의 값 ?? ''; 을 작성하여 데이터가 null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.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 JS] Node JS란? (0) | 2023.05.25 |
---|---|
디자인 패턴과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(0) | 2023.05.18 |
Github Action을 이용한 AWS 자동배포 (0) | 2023.04.20 |
[CSS] (SASS | Styeld-Components) 차이와 장단점 (0) | 2023.02.27 |
[React.js] 왜 React인가? ( Vue | Angular | Svelte) (0) | 2023.02.25 |